검수

container inspection
컨테이너 검수
  • 작업 전 적하목록을 기준으로 본선 적부도상과 상호 대조하여 사전 작업준비.
  • 상호 대조 후 적하목록과 상이할 경우 해당 선박회사에 연락조치.
  • 컨테이너 선적 LIST(CLL)를 선박회사로부터 입수, 본선 적부도 작성.
  • 선적 LIST에 의거 양하지, 냉동, SPECIAL 컨테이너 등을 확인하며 본선 적부도와 일치하게 선적 진행

본선 검수사 배치 : 수석검수사(1명), 서기(3명), 검수사(CRANE 당 3명)

Bulk Inspection
벌크 검수
1.벌크 수입 검수 업무
  • 작업 전 적하목록 및 양하에 관련된 서류를 선박회사로부터 입수.
  • 화물적부도에 대한 내용을 각 HATCH별 검수사에게 화물의 주의사항, 화주별 구분에 대한 주지.
  • 작업 중 화물에 대한 이상유무 발생시 선박회사 담당자에게 상황보고 후 조치.
검수사
  • MARK, 수량, 포장상태, 포장단위 확인 및 기록.(검수표 작성)
  • 화물에 대한 손상여부 확인.(작업 전, 작업 중 상황을 명확히 구분)
  • 각 HATCH별 하역 작업상황 기록.(TIME SHEET)
서기
  • 본선검수사가 작성하는 검수표를 근거로 검수서류 작성.
  • 작성된 서류는 선박회사 및 관련회사에 제출.
  • 화물의 과부족 발생시 하선결과 이상보고서 세관 EDI 전송.
수석 검수사
  • 현장 관리감독 및 하역회사 책임자와 작업 협조.
  • 선박회사에 일일 하선 작업량 보고.
  • 작업 종료 시 서기에 의해 작성된 검수서류를 최종검토.
2.벌크수출 검수 업무
  • 타 항에서 선적된 화물확인 및 선박회사에서 입수된 선적지시서(S/O), 본선 적부도(STOWAGE PLAN)에 의해 HATCH별 화물선적 검수.
  • 선적 서류상 화물과 현품이 상이할 경우 선박회사 담당자와 연락하여 선적 가부 결정.
  • 선적할 부두에 미리 장치된 화물상태 파악.
container inspection
컨테이너 검수
  • 작업 전 적하목록을 기준으로 본선 적부도상과 상호 대조하여 사전 작업준비.
  • 상호 대조 후 적하목록과 상이할 경우 해당 선박회사에 연락조치.
  • 컨테이너 선적 LIST(CLL)를 선박회사로부터 입수, 본선 적부도 작성.
  • 선적 LIST에 의거 양하지, 냉동, SPECIAL 컨테이너 등을 확인하며 본선 적부도와 일치하게 선적 진행

본선 검수사 배치 : 수석검수사(1명), 서기(3명), 검수사(CRANE 당 3명)

Bulk Inspection
벌크 검수
1.벌크 수입 검수 업무
  • 작업 전 적하목록 및 양하에 관련된 서류를 선박회사로부터 입수.
  • 화물적부도에 대한 내용을 각 HATCH별 검수사에게 화물의 주의사항, 화주별 구분에 대한 주지.
  • 작업 중 화물에 대한 이상유무 발생시 선박회사 담당자에게 상황보고 후 조치.
검수사
  • MARK, 수량, 포장상태, 포장단위 확인 및 기록.(검수표 작성)
  • 화물에 대한 손상여부 확인.(작업 전, 작업 중 상황을 명확히 구분)
  • 각 HATCH별 하역 작업상황 기록.(TIME SHEET)
서기
  • 본선검수사가 작성하는 검수표를 근거로 검수서류 작성.
  • 작성된 서류는 선박회사 및 관련회사에 제출.
  • 화물의 과부족 발생시 하선결과 이상보고서 세관 EDI 전송.
수석 검수사
  • 현장 관리감독 및 하역회사 책임자와 작업 협조.
  • 선박회사에 일일 하선 작업량 보고.
  • 작업 종료 시 서기에 의해 작성된 검수서류를 최종검토.
2.벌크수출 검수 업무
  • 타 항에서 선적된 화물확인 및 선박회사에서 입수된 선적지시서(S/O), 본선 적부도(STOWAGE PLAN)에 의해 HATCH별 화물선적 검수.
  • 선적 서류상 화물과 현품이 상이할 경우 선박회사 담당자와 연락하여 선적 가부 결정.
  • 선적할 부두에 미리 장치된 화물상태 파악.